정보마당

02. 보도자료

대전의 균형발전과 시민의 행복을 꿈꾸는 대전도시재생지원센터

[충청투데이] ‘정비 사각지대’ 놓인 대전 노후주거지 대책 마련 시급
DJRC   2025-07-24 10:53:35   45

‘정비 사각지대’ 놓인 대전 노후주거지 대책 마련 시급

  •  이석준 기자
  •  승인 2025.07.10 

대전세종연구원 세미나서 새로운 정비·재생모델 필요 제언

10일 '지역맞춤 도시재생을 위한 정책 세미나'에서 박정은 국토연구원 박사가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이석준 기자
10일 '지역맞춤 도시재생을 위한 정책 세미나'에서 박정은 국토연구원 박사가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이석준 기자

[충청투데이 이석준 기자] 대전의 노후 주거지역 대부분이 정비 사각 지역에 속해 노후화가 심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에 정비 사각 지역을 위한 새로운 정비·재생 모델이 제시돼야 한다는 제언이 제기됐다.

한국도시재생학회는 10일 대덕구석봉복합문화센터에서 대전세종연구원, 대전시와 함께 ‘지역맞춤 도시재생을 위한 정책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박정은 국토연구원 박사는 ‘저층주거지 정비와 원도심 성장거점화’ 주제 발제를 통해 대규모 재개발·재건축 구역에 들어가지 못한 저층 주거지의 쇠퇴가 심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전의 경우 전체 면적에서 노후 주거지역이 9.6%를 차지하고, 그중 93.5%가 정비 사각 지역에 해당한다고 분석됐다.

대표적인 사각 지역으로는 괴정동과 용문동, 부사동, 석교동 등이 제시됐다.

괴정동과 용문동 사각 지역은 주위에 정비 구역이 존재하고 기반 시설 여건이 양호하지만, 부사동과 석교동 사각 지역은 주변 정비구역과 기반 시설 여건이 모두 열악하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와 함께 노후주택 비율도 2023년 기준 31.6%로 2015년(13.1%) 대비 18.5%p 높아진 수치를 보였다.

박정은 박사는 노후 저층 주거지역 정비를 목적으로 하는 뉴:빌리지 사업이 정비 사각 지역 문제의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민간 주도로 주거 문제를 해결하게 해 더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실제 대전에서는 중구 대흥지구가 지난해 12월 뉴:빌리지 사업에 선정돼 지난 8일 사업 착수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또 주거·상업 혼재 지역에 대한 맞춤형 관리 모델 도출 등 더 차별화된 정책 필요성이 강조됐다.

그는 “기존의 대규모 정비사업에서 소외된 노후 주거지 패키지화를 통해 관리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며 “그 과정에서 노후 주거지에 대한 수요와 주민이 원하는 정비방식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출처: 충청투데이(https://www.c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15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