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투데이=김지연 기자] 대전시가 도시재생사업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후관리에 집중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8일 시에 따르면 2016년 중앙로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총 17곳에서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했다. 이 중 7곳은 완료됐고, 올해 말까지 2곳이 추가로 완료할 예정이다.
시는 그동안 도시 쇠퇴 지역의 물리적 정비와 공동체 회복을 목표로 도시재생사업을 진행해왔다. 총 사업비 3405억 원이 투입된 이번 사업은 기반시설 정비, 생활SOC 공급, 주민 역량 강화 등을 포함해 도시 구조적 회복을 이끌어냈다.
완료된 사업지로는 어은동, 중촌동, 중앙로, 가오동, 대동, 신탄진동, 오정동 등이 있으며, 연말까지 중구 유천동과 서구 정림동도 완료할 계획이다.
시는 사업의 단기적 효과에 그치지 않도록 사후관리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마련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난해 '대전광역시 도시재생사업 사후관리 조례'를 제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후관리 계획 수립 및 모니터링 평가 체계를 본격적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모니터링 평가는 단순한 점검을 넘어 도시 쇠퇴 방지 방안, 기반 시설 운영·관리, 지역 맞춤형 일자리 창출, 주민 역량 강화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진단한다.
이를 통해 자치구별로 사후 관리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맞춤형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시설별 컨설팅과 지원도 강화해 사업의 효과를 극대화할 예정이다.
또 이달 10일 대전세종연구원과 공동으로 정책 세미나를 개최해 전문가들과 함께 도시재생사업의 성과와 향후 과제, 발전 방향에 대해 심도 있는 토론을 진행할 예정이다.
출처: 로컬투데이(https://www.loc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7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