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도시재생사업 사후관리를 강화한다.
시는 현재까지 도시쇠퇴 지역의 물리적 정비, 공동체 회복을 위한 도시재생 기반 조성에 집중해왔다. 앞으로는 사업의 ‘지속가능성 확보’라는 핵심 과제 차원에서 사후관리에 집중할 계획이다.
시에 따르면, 2016년 중앙로 프로젝트 사업을 시작으로 총 17곳을 대상으로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했다. 이중 7곳은 사업을 완료했고, 올해 말까지 2곳이 완료될 예정이다.
마중물 사업비 총 3405억 원이 투입된 재생사업은 기반시설 정비, 생활SOC공급, 주민 역량 강화 등을 통해 도시 쇠퇴지역의 구조적 회복을 이끌었다.
앞서 시는 지난해 도시재생의 효과가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도록 '대전시 도시재생사업 사후관리 조례'를 제정했다. 이를 근거로 사후관리계획을 수립한 뒤 이달부터 모니터링 평가체계를 운영한다.
이번 모니터링 평가는 단순 사후 점검을 넘어 ▲도시쇠퇴 방지 방안 ▲ 기반 시설 운영·관리 ▲지역 맞춤형 일자리 창출 ▲주민역량 강화 등을 종합적으로 시행한다. 이를 기반으로 자치구별 사후관리 수준을 객관화하고, 시설별 맞춤형 지원(컨설팅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오는 10일에는 대전시와 대전세종연구원이 공동으로 지속 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정책 세미나를 개최한다. 세미나에는 관계 전문가, 도시재생 관련 유관기관 등이 참석해 도시재생사업의 성과와 과제를 공유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논의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도시재생사업의 성패는 사업 완료 후 실제 운영과 관리 단계에서 결정된다”며 “사후관리 체계를 도입해 자치구별 맞춤형 지원과 성과 환류 체계를 강화하고, 주민공동체가 주도하는 도시재생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디트뉴스24(http://www.dtnews24.com/news/articleView.html?idxno=7939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