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사후관리계획 수립·모니터링 평가체계 7월부터 운영
쇠퇴 방지 방안과 일자리, 주민 역량 진단 맞춤형 지원
![[대전=뉴시스]대전시청 전경. 2025. 07. 0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7/08/NISI20250708_0001887507_web.jpg?rnd=20250708153306)
[대전=뉴시스]대전시청 전경. 2025. 07. 0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뉴시스]곽상훈 기자 = 대전시가 도시재생 사후관리로 지속가능한 도시 기반 만들기에 나선다.
그동안 도시쇠퇴 지역의 물리적 정비와 공동체 회복을 위한 도시재생의 기반 조성에 집중해 왔다면 앞으로는 사업의 '‘지속가능성 확보'라는 핵심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후관리에 집중한다는 전략이다.
그동안 도시쇠퇴 지역의 물리적 정비와 공동체 회복을 위한 도시재생의 기반 조성에 집중해 왔다면 앞으로는 사업의 '‘지속가능성 확보'라는 핵심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후관리에 집중한다는 전략이다.
8일 시에 따르면 2016년 중앙로 프로젝트 사업을 시작으로 총 17곳에서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해 이 가운데 7곳은 사업을 완료했고 올해 말까지 2곳이 추가 완료될 예정이다.
마중물 사업비 총 3405억 원이 투입된 재생사업은 기반시설 정비, 생활SOC공급, 주민 역량 강화 등을 통해 도시 쇠퇴지역의 구조적 회복을 이끌어왔다.
시는 도시재생의 효과가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도록 지난해 '대전광역시 도시재생사업 사후관리 조례'를 제정하고 이를 근거로 사후관리계획 수립하고 모니터링 평가체계 운영을 7월부터 본격화할 예정이다.
마중물 사업비 총 3405억 원이 투입된 재생사업은 기반시설 정비, 생활SOC공급, 주민 역량 강화 등을 통해 도시 쇠퇴지역의 구조적 회복을 이끌어왔다.
시는 도시재생의 효과가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도록 지난해 '대전광역시 도시재생사업 사후관리 조례'를 제정하고 이를 근거로 사후관리계획 수립하고 모니터링 평가체계 운영을 7월부터 본격화할 예정이다.
이번 모니터링 평가는 단순 사후 점검을 넘어 도시쇠퇴 방지 방안, 기반 시설 운영·관리, 지역 맞춤형 일자리 창출, 주민역량 강화 등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이를 통해 자치구별 사후관리 수준을 객관화하여 시설별 맞춤형 지원(컨설팅 등)이 이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