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도시재생 사후관리 체계를 본격 가동하며 지속가능한 도시 회복 기반 구축에 나선다.
시는 2016년 중앙로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17곳에서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해 왔다. 이 가운데 어은동, 중촌동, 중앙로, 가오동, 대동, 신탄진동, 오정동 등 7곳은 이미 사업이 완료됐고 올해 말까지 유천동과 정림동 2곳이 추가로 마무리될 예정이다.
그동안 시는 3405억 원 규모의 마중물 사업비를 투입해 기반시설 정비, 생활SOC 공급, 주민 역량 강화 등을 중심으로 도시 쇠퇴지역의 구조적 회복에 집중해왔다. 여기에 더해 시는 도시재생의 효과가 일회성으로 끝나지 않도록 올해 대전시 도시재생사업 사후관리 조례를 제정, 이달부터 사후관리계획 수립과 모니터링·평가체계 운영을 본격화하기로 했다.
사후 평가는 도시쇠퇴 방지, 기반시설 운영·관리, 지역 맞춤형 일자리 창출, 주민 역량 강화 등 다양한 항목을 종합 진단하고 자치구별 사후관리 수준을 수치화해 시설별 맞춤형 컨설팅 등 후속 지원을 병행하는 것이 핵심이다.
시는 이와 연계해 10일 대전세종연구원과 공동으로 정책 세미나를 열고 전문가와 유관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도시재생의 성과와 과제를 공유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논의할 예정이다.
출처: 금강일보(https://www.gg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099612)